본문
세계 최강 엠프 크라운 MA5002VZ
외관
안녕하십니까.. 이대용입니다. 이번엔 세계 최강 엠프 크라운의 MA5002VZ를
리뷰해볼까 합니다. 먼저 외관은 하얀색으로 꽤 묵집해 보입니다만..
실제로 묵집하답니다. 35킬로그램으로 상당한 무게지요. 전원 스위치와.. 볼륨 노브
그리고 엠프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LED들로 구성되어 있구요.. 먼지를 빨아들여
냉각시키는 방식이기에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가 달려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출력 및 조작부
3가지의 인디게이터 LED가 있습니다. 매뉴얼을 보시면 자세히 나옵니다..^^
5002의 경우에 큰 파워를 송출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출력을 위해 볼트 타입의 커넥터를 지원합니다. 전원선에 쓰이는 터미널을 이용하셔서 접속해주시면 좀더 안정된 연결이 되겠습니다. 정말 무식하져? ^^;; 저거 풀를려면 좀 오래걸립니다.
엠프의 모드엔 대부분의 엠프와 마찬가지로 패러랠 스테레오 브릿지 모노를 지원하구요. 패러랠 모드시.. 일반 엠프와는 다르게 한쪽 엠프 채널이 역위상이 됩니다. MA씨리즈가 전부 그렇구요 패러랠 모드를 사용하시기 보단 Y케이블을 이용하셔서 링크하시거나 엠프 입력 단자를 이용해 링크하여 사용하시길 권장해 드립니다. 입력 센스티비 조절 단자가 있구요.. 컴프래서가 기능이 들어 있습니다. loudspeaker offset intergration switch는 정확히는 모르겠는데여..^^;; 일종의 보호회로라보심됩니다. 아.. 영어가 짧아서리..ㅡㅡ;;
사용후기(총평)
5002는 정말이지. 괴물이라 할수 있습니다. 무게에 압도당하고 그 출력에 압도당합니다.
JBL SR4733X라는 스피커에 저엠프르 사용하기를 JBL사가 추천하는대요.
정말이지 저도 들어보진 못했지만. 정말 훌륭한 사운드를 들려준다고 하는군요. 보통 MA3600vz를 물리게 되는 대요. 5002를 물려 들어보신 분들은 정말 또다른 4733의 사운드를 듣게 된다는 군요. VZ씨리즈의 가변 저항 시스템으로 현재 출력에 따라 임피던스를 맞춰주어 안정된 출력과 스피커와 엠프 모두를 보호 할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고 하는군요. 주파수에 따라 임피던스는 변화하게 되어 있으니까 말이죠. 안정적이고 파워풀한 엠프를 찾으신다면 5002가 적격이 아닐까 합니다.
연동하는 장비 및 셋팅
연동되는 장비들은 머 물론 스피커들이겠구요.. 좀더 5002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저 보시는 거대한 코일로 인해서 안정적이면서도 파워풀한 출력을 낼수 있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대부분의 엠프들과 마찬가지로 공기를 유입시켜 냉각을 시키는 방식입니다. 팬이 2개가 들어있구요. 엠프의 상태에 따라 팬이 작동되기떄문에 다른 엠프들에 비해 조용한 편입니다. 엠프가 그냥 코일 만 들어 있을것 같은데 5002는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그게 과학이며 기술이겠죠..엠프의 성능이기도 하구
사용환경(장소 및 구조)
5002는 규모가 큰 음향시스템..이나 주로 서브우퍼쪽에 사용을 마니 합니다.
JBL Vertec 4889같은 경우 5002를 하이, 미드, 로우에 사용하구요. 서브우퍼에도
많이 쓰여지는 엠프입니다. 아주 엄청난 파워와 안정성을 자랑하기떄문에
대규모 시스템에 많이 쓰이죠.
채널 및 입출력부
입력부는 캐논 XLR입력과 TRS 55 발란스 입력을 갖고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카드를 바꿔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MA씨리즈의 "2"는 크라운의 IQ시스템과 연동되는것을 말합니다. 그것에 따라 옵션으로 입력부의 카드를 바꿀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드시 크라운 엠프는 패러랠 모드로 사용하시기보단 링크를 권장합니다. 패럴렐 모드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캐논입력으로 넣으시고 55로 출력을 뽑아서 바로 옆채널에 링크해주시면 됩니다. 캐논과 55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것이죠. 보통 4대정도 까지 연결해주는것은 무방하다 합니다. 그이상은 임피던스 문제때문에.. 아무튼.. ^^
211.234.192.164